다시 쓰는 낙서

4.27 재보선 결과에 대한 느낌

hutddokddok 2011. 4. 28. 22:12

 

분당의 손학규 당선은 별로 이변이란 생각이 안든다.김해의 김태호 당선도 그럴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경악 스러운 것은 강원도 지사 선거 결과,최문순의 당선이다.

한국 정치의 기본 구도는 지역주의다.영남과 호남의 대결구도가 큰 틀이고, 지역주의에서 조금은 자유로운 수도권의 민심이 어느 쪽으로 쏠리느냐에 따라 결과가 결정되어져 왔다.지역주의는 점점 치열해지고 분화되어 이제는 모든 지역에서 "우리 지역도 대통령 한 번 만들어 보자"로 변화했다.이제는 정당보다 누가 대통령이 될 만한 인물이냐가 중요해졌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강원의 이광재,충남의 안희정,경남의 김두관의 당선은 노풍이 아니라 우리지역 대통령 만들기였다. 반면에 수도권에서의 민주당 압승은 이명박 정권에 대한 유권자들의 명확한 견제 심리를 보여준 것이라 볼 수 있다.이것은 서울시장과 경기지사에서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오세훈과 김문수는 당선되었지만 구청장과 시장선거는 인물은 무시되고 민주당 바람이 휩쓴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번 4.27보선에서 인물 중심의 구도가 짜여지고 인물론에서 우세한 손학규,김태호가 당선된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다.그러나 인물론에서 우세했던 엄기영이 최문순에게 뒤진 것은 새로운 상황이라 볼수 있다.물론 TV토론에서의 엄기영의 미숙함,선거 홍보에서의 부정등 엄기영이 자책점을 낸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하지만  득표 결과를 보면 엄기영은 강릉을 위시한 영동에서 앞서고 춘천과 원주를 포함한 영서는 최문순에게 지지를 보냈다.이것은 강원 영서 지방,특히 인구가 밀집된 춘천과 원주가 수도권에 포섭되어지는 상황의 반영으로 보인다.이제 경춘선 전철로 춘천은 수도권의 영향에 가까워 졌고,중앙선 전철의 연장으로 원주도 수도권이 되어가고 있다.강원 서부 지방은 수도권과 같은 정치 성향을 보이기 시작하는 것 같다.

 

 

                 
  선거인수 투표수 한나라당 민주당 무소속 무효 기권수
엄기영 최문순 황학수 투표수
합   계 1,214,936 577,124 267,538 (46.56%) 293,509 (51.08%) 13,463 (2.34%) 574,510 2,614 637,812
춘천시 211,347 107,000 44,875 (42.07%) 60,204 (56.44%) 1,578 (1.47%) 106,657 343 104,347
원주시 243,514 99,973 44,303 (44.44%) 53,265 (53.43%) 2,110 (2.11%) 99,678 295 143,541
강릉시 173,025 76,756 38,668 (50.57%) 35,031 (45.82%) 2,751 (3.59%) 76,450 306 96,269
동해시 74,392 35,094 16,761 (47.97%) 17,286 (49.47%) 890 (2.54%) 34,937 157 39,298
삼척시 59,381 28,662 14,469 (50.72%) 13,307 (46.64%) 751 (2.63%) 28,527 135 30,719
태백시 40,993 19,821 9,721 (49.41%) 9,536 (48.47%) 417 (2.11%) 19,674 147 21,172
정선군 34,331 18,091 8,345 (46.35%) 9,326 (51.80%) 331 (1.83%) 18,002 89 16,240
속초시 65,594 26,810 12,927 (48.39%) 13,317 (49.85%) 469 (1.75%) 26,713 97 38,784
고성군 25,169 13,006 6,598 (51.00%) 6,031 (46.62%) 307 (2.37%) 12,936 70 12,163
양양군 23,309 15,384 6,719 (44.22%) 8,042 (52.93%) 432 (2.84%) 15,193 191 7,925
인제군 25,245 12,948 5,878 (45.73%) 6,629 (51.57%) 345 (2.68%) 12,852 96 12,297
홍천군 56,915 28,538 12,442 (43.87%) 15,175 (53.51%) 742 (2.61%) 28,359 179 28,377
횡성군 36,588 19,163 9,367 (49.08%) 9,314 (48.80%) 403 (2.11%) 19,084 79 17,425
영월군 33,581 18,265 8,920 (49.07%) 8,905 (48.98%) 353 (1.94%) 18,178 87 15,316
평창군 35,895 18,662 8,715 (46.84%) 9,535 (51.25%) 353 (1.89%) 18,603 59 17,233
화천군 19,739 11,168 5,322 (48.20%) 5,332 (48.29%) 387 (3.50%) 11,041 127 8,571
양구군 17,302 9,904 4,583 (46.52%) 4,954 (50.29%) 313 (3.17%) 9,850 54 7,398
철원군 38,616 17,879 8,925 (50.20%) 8,320 (46.80%) 531 (2.98%) 17,776 103 20,737